하루에도 몇 번씩 우리의 식탁 위를 오가는 음식들, 그 속에 담긴 에너지는 어떻게 우리의 몸속으로 흡수되고, 필요한 곳에 쓰이게 될까요? 이 복잡하고 정교한 과정 속에서 조용히, 하지만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기관이 바로 췌장입니다. 췌장은 단순히 소화효소만 만드는 기관이 아닙니다. 혈당을 조절하며 몸의 에너지 대사를 균형 있게 유지하는 중요한 내분비 기관이기도 합니다. 오늘은 췌장의 구조와 그 속에 담긴 호르몬의 세계를 함께 들여다보겠습니다.

췌장 이야기

췌장의 구조: 두 얼굴을 가진 기관

췌장은 복강의 깊숙한 곳, 위장의 뒤쪽에 가로로 위치해 있습니다. 길이는 약 15cm 정도로 손바닥만 한 크기인데요, 외형은 다소 붉은색을 띠는 희백색의 부드러운 조직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작은 기관이 참으로 대단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췌장은 외분비와 내분비 두 가지 기능을 가진 독특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외분비 조직은 우리가 잘 아는 소화효소를 만들어 소장으로 보내고, 내분비 조직은 바로 랑게르한스섬이라 불리는 세포 집단을 통해 여러 호르몬을 분비합니다. 이 호르몬들이 바로 우리 몸의 혈당을 조절하는 주인공들입니다.

췌장의 구조

췌장 호르몬의 3총사

랑게르한스섬은 그 안에서 역할이 다른 세 가지 주요 세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인슐린 – 혈당을 낮추는 유일한 호르몬

인슐린은 췌장의 β-세포(베타세포)에서 분비되며, 혈액 속의 포도당을 세포 안으로 끌어들여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거나 글리코겐으로 저장하게 합니다. 식사를 하고 혈당이 오르면 인슐린이 분비되어 혈당을 정상 범위(70~110mg/dL)로 유지하게 돕습니다.

이 호르몬 덕분에 근육과 지방 조직 같은 곳에서는 포도당을 에너지원이나 저장 형태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뇌나 간, 신장 세뇨관 같은 일부 기관들은 인슐린이 없어도 포도당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인슐린이 제대로 분비되지 않거나 작용하지 않으면 당뇨병이라는 질환이 발생하게 됩니다.

글루카곤 – 혈당을 올려주는 조력자

글루카곤은 α-세포(알파세포)에서 분비되며, 인슐린과는 정반대 역할을 합니다. 공복 상태나 혈당이 떨어졌을 때, 간에 저장된 글리코겐을 포도당으로 분해하여 혈액 속으로 방출하게 만들어 혈당을 올립니다​.

또한 지방세포에서 지방산을 유리시켜 간으로 이동시키고, 이를 분해하여 케톤체라는 에너지원으로 전환하기도 합니다. 이렇게 인슐린과 글루카곤은 서로 균형을 맞추며 혈당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소마토스타틴 – 조용한 조절자

소마토스타틴은 δ-세포(델타세포)에서 분비되며, 인슐린과 글루카곤의 분비를 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위장관의 활동을 감소시켜 소화와 영양소 흡수를 조절하는 역할도 합니다. 덕분에 몸이 과도하게 에너지를 저장하거나 소모하지 않도록 적절한 브레이크 역할을 해줍니다.

췌장이 건강해야 내 몸이 건강합니다

췌장은 혈당 조절뿐 아니라 소화에도 관여하기 때문에, 건강을 지키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기관입니다. 췌장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면 당뇨병뿐 아니라 소화불량이나 지방 흡수 장애 같은 문제도 생길 수 있습니다.

건강한 식습관과 꾸준한 운동은 췌장이 잘 작동하도록 돕는 최고의 방법입니다. 특히 혈당을 급격히 올리는 정제된 탄수화물은 피하고, 식이섬유가 풍부한 식단을 유지하면 췌장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습니다.

우리 몸 속에서 보이지 않는 곳에서 묵묵히 일하고 있는 췌장, 오늘부터라도 더 관심을 가지고 아껴주면 어떨까요?

췌장 이야기

관련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