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식사를 하고 나면 우리 몸속에서 지방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궁금해 보신 적 있으신가요? 단순히 먹고 쌓이는 줄로만 알고 계셨다면, 오늘 이야기에서 놀라운 사실들을 발견하실 겁니다. 바로 지질대사 이야기입니다. 지방이 우리 몸에서 어떻게 소화되고, 저장되고, 분해되며, 다시 만들어지는지까지 하나하나 풀어보겠습니다.

지질대사

지질, 소화부터 흡수까지의 여정

식사를 통해 섭취한 지방은 위장을 거쳐 십이지장에 도달하면 담즙과 만납니다. 담즙 속 담즙산염은 기름방울 같은 지질을 잘게 쪼개어 ‘유화’라는 과정을 거치게 하죠. 이렇게 잘게 쪼개진 지질은 소장에서 효소들의 도움으로 중성지방에서 지방산과 모노글리세롤로 분해되고, 다시 장세포에서 재합성되어 카일로마이크론이라는 입자로 만들어집니다. 이 입자는 림프관과 혈액을 통해 온몸으로 이동합니다.

저장된 지방, 어떻게 에너지원으로 쓰일까요?

중성지방이 지방세포에 저장되었다가 필요할 때는 호르몬 신호에 의해 분해됩니다. 호르몬 민감성 리파아제가 활성화되면 지방산과 글리세롤이 방출되고, 이들은 혈액을 타고 근육 등으로 옮겨져 에너지 생산에 쓰입니다. 지방산은 미토콘드리아 안에서 β-산화라는 과정을 통해 아세틸 CoA로 변환되고, 이 아세틸 CoA는 TCA 회로에서 ATP를 만드는 데 쓰이죠.

극단적인 상황에서의 비상연료, 케톤체

포도당이 부족하거나 단식, 심한 당뇨 상태에서는 지방산 분해가 활발해지며 케톤체라는 물질이 간에서 만들어집니다. 아세토아세트산, β-히드록시부티르산, 아세톤 등이 여기에 속하는데요, 이들은 뇌를 포함한 여러 조직에서 포도당 대신 에너지원으로 사용됩니다. 다만, 케톤체가 과도하게 쌓이면 케톤산증이라는 위험한 상태로 이어질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새로운 지방을 만드는 놀라운 과정, 지방산 합성

섭취한 에너지가 충분하고 남을 때, 우리 몸은 남는 탄수화물과 단백질을 지방으로 바꿔 저장하려고 합니다. 세포질에서 아세틸 CoA가 지방산으로 변환되며, 이 과정에는 ATP와 NADPH 같은 에너지원이 필요합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지방산은 다시 글리세롤과 결합해 중성지방이 되고, 지방세포에 저장됩니다.

콜레스테롤과 스테로이드, 몸속 화학 공장의 산물

콜레스테롤은 단순히 혈관을 막는 물질로만 알려져 있지만, 사실 우리 몸은 이 콜레스테롤을 직접 만들어 냅니다. 아세틸 CoA로부터 시작해 메발론산, 스쿠알렌, 라노스테롤 단계를 거쳐 최종적으로 콜레스테롤이 완성되죠. 이 콜레스테롤은 세포막을 안정화시키고, 담즙산, 스테로이드 호르몬, 비타민 D로도 전환됩니다.

인지질과 스핑고지질, 세포막을 짓고 부수는 순환

세포막의 핵심 구성 성분인 인지질과 스핑고지질도 대사의 흐름 속에서 생성되고 분해됩니다. 인지질은 세포막뿐 아니라 신호전달과 세포 인식에, 스핑고지질은 특히 신경세포의 미엘린 수초 구성에 중요합니다. 이들 지질의 생합성은 세포질이나 골지체에서 이뤄지고, 리소좀에서의 분해로 마무리됩니다.

지질대사는 우리가 먹은 기름기가 단순히 살로 가는 것이 아니라, 에너지 생산, 생체막 구성, 호르몬 합성 등 다양한 생명 유지 기능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놀랍습니다. 그러니 다음 번 식사를 할 때는 “내 몸이 이걸 어떻게 활용할까?” 한번쯤 상상해 보시는 건 어떨까요?

지방의 대사

관련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