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에 관심 있는 분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은 “우유는 완전식품이다”라는 말을 들어보셨을 겁니다. 이는 수십 년간 대중매체와 광고를 통해 자연스럽게 학습된 상식처럼 받아들여지고 있지요. 그러나 과연 진실일까요? 다이어트와 건강에 대해 근본적인 통찰을 제공하는 내용을 바탕으로, 우유가 정말 ‘완전한’ 식품인지 다시 한 번 깊이 들여다보겠습니다.

칼슘 보충? 오히려 빠져나간다
우유의 대표적인 장점으로 알려진 것은 칼슘 보충입니다. 뼈 건강에 좋다는 말은 누구나 들어봤을 정도로 상식처럼 퍼져 있지요. 하지만 책에서는 전혀 다른 이야기를 합니다. 우유를 마시면 오히려 몸 안의 칼슘이 빠져나간다는 것입니다.
이는 인체의 산염기 균형과 관련이 있습니다. 우유는 동물성 단백질이 풍부한 산성 식품이기 때문에, 이를 중화하기 위해 체내에서는 칼슘이라는 알칼리성 미네랄을 끌어다 씁니다. 그 결과 뼈에 저장돼 있던 칼슘이 빠져나가게 되는 것이죠. 아이러니하게도, 뼈를 강화하겠다고 마신 우유가 오히려 칼슘 손실을 부를 수 있다는 경고입니다.
단백질 섭취를 위한 최선의 선택일까?
우유는 단백질 함량이 높다는 이유로, 운동 후 회복식이나 다이어트 식단에 자주 포함되곤 합니다. 하지만 책에서는 단백질에 대한 지나친 집착 자체를 경계합니다. 특히 우유 같은 동물성 단백질은 에너지로 전환되지 않을 뿐 아니라, 분해하고 배출하는 데도 막대한 에너지와 부담을 요구하기 때문에 오히려 건강을 해칠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게다가 우유 속의 카제인(casein)은 사람의 소화기관에 큰 부담을 줄 수 있는 단백질로, 일부 연구에선 염증이나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할 수 있다고도 합니다.
우유는 누구를 위한 식품인가?
흥미로운 사실은, 자연계에서 다 큰 포유류가 다른 동물의 젖을 먹는 경우는 인간뿐이라는 점입니다. 사자가 호랑이 젖을 먹지 않듯이, 우유는 인간의 성장기에 맞춰 만들어진 식품이 아닙니다. 더욱이, 대부분의 성인은 유당분해효소(락타아제)의 활성이 줄어들면서 우유를 제대로 소화하지 못하는 유당불내증을 경험하게 됩니다.
이는 유전적으로 일부 지역 사람들에게만 락타아제가 유지되었기 때문이며, 전 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이 유당을 소화하지 못하는 것이 현실입니다.
진짜 완전식품은 따로 있다
진정한 완전식품은 수분이 풍부하고 자연 상태에 가까운 과일과 채소라고. 이들은 체내 산도를 중화하고, 빠르게 소화되며, 독소를 배출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우유가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지 생각해 보면, ‘완전식품’이라는 표현은 지나친 과장일 수 있습니다.
우유는 분명히 고영양 밀도의 식품이긴 합니다. 하지만 그것이 곧 ‘완전식품’이라는 뜻은 아닙니다. 특히 건강을 회복하거나 다이어트를 목표로 하는 분이라면, 우유 섭취에 대해서도 좀 더 비판적인 시각을 가질 필요가 있습니다. 우리 몸의 자연적인 리듬과 소화 능력, 식물성 식품의 효과를 고려할 때, 우유는 반드시 필요한 식품이라기보단 선택적으로 접근해야 할 식재료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