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하지 않는 시민은 민주주의의 가장 큰 위협이다”
언어학을 넘어서 사유의 지도를 그린 남자
노암 촘스키(Noam Chomsky)라는 이름은 단순한 언어학자를 넘어, ‘지성의 화신’이라 불릴 만큼 현대 사회에 강한 울림을 남긴 인물입니다.
많은 이들은 그를 ‘보편 문법’을 통해 언어학의 혁명을 일으킨 학자로 기억하지만, 촘스키가 우리 시대에 던지는 질문은 그보다 훨씬 넓고 깊습니다.
그는 인간의 언어 능력 뒤에 숨은 선천성과 인지 구조를 파고들며, 언어가 단순한 소통의 도구가 아니라 인간 본성의 창이라고 말합니다. 동시에 그는 언어와 권력의 연결 고리를 통해, 어떻게 정보가 조작되고 여론이 형성되는지를 밝혀낸 날카로운 비판가이기도 합니다.
오늘 우리는 단지 언어학자가 아니라, 사유의 틀을 바꾸고자 한 한 지성인을 만나보려 합니다.
보편 문법 이론, 인간을 다시 정의하다
1957년, 젊은 촘스키는 『구문 구조(Syntactic Structures)』라는 책 한 권으로 언어학계를 뒤흔듭니다. 당시에는 행동주의 심리학이 지배적이던 시대였고, 인간은 외부 자극에 반응하는 존재로 이해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촘스키는 이 흐름을 정면으로 거스릅니다.
그는 아이들이 언어를 빠르게 습득하는 현상을 관찰하며, 인간에게는 ‘언어 습득 장치(Language Acquisition Device)’가 내재되어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 주장은 ‘보편 문법(Universal Grammar)’이라는 개념으로 구체화되며, 모든 인간 언어에는 공통된 구조가 있다는 강력한 가설로 자리 잡습니다.
이 이론은 이후 인지과학, 심리학, 인공지능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 깊은 영향을 미치며, 인간을 수동적인 존재가 아닌 ‘적극적으로 세계를 해석하는 존재’로 재정의하는 데 기여합니다.
지식인의 책임, 침묵은 공범이다
촘스키는 학자이자 철저한 행동하는 지식인입니다.
1967년, 그는 『지식인의 책임(The Responsibility of Intellectuals)』이라는 에세이에서, 베트남 전쟁을 비판하지 않는 지식인들을 향해 날을 세웁니다. 그는 “지식인은 권력에 복무해서는 안 되며, 불의에 저항하고 진실을 말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후에도 그는 중동 문제, 이라크 전쟁, 미국 외교 정책 등 수많은 현안에 대해 날카롭게 비판해왔으며, 때론 미국 내에서도 ‘반역자’라는 낙인이 찍히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그는 한결같이 “침묵은 권력의 연장”이라는 신념 아래, 지식인의 양심을 대변해왔습니다.
언론은 무엇을 말하지 않는가 – ‘여론 조작’의 민낯
촘스키가 대중에게 널리 알려지게 된 계기 중 하나는 『여론 조작(Manufacturing Consent)』입니다. 이 책은 언론이 단순히 정보를 전달하는 기관이 아니라, 자본과 권력의 프레임 속에서 ‘무엇을 말하고, 무엇을 말하지 않을지’를 선택함으로써 여론을 만들어낸다는 점을 지적합니다.
촘스키는 이를 ‘프로파간다 모델(Propaganda Model)’로 설명하며, 언론이 국가의 외교 정책을 정당화하는 데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다양한 사례를 통해 분석합니다.
그의 주장은 단지 미국만이 아니라, 오늘날 한국 사회의 언론 생태계에도 묵직한 질문을 던지고 있습니다.
촘스키가 남긴 유산, 그리고 우리가 던져야 할 질문
노암 촘스키는 평생 동안 한 가지 입장을 고수해왔습니다.
그것은 ‘비판적 사유’입니다. 그는 단지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스스로 질문할 수 있는 능력을 회복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오늘날 우리는 수많은 정보 속에 살고 있지만, 정작 생각하는 힘은 약해지고 있습니다. 촘스키는 그 점을 누구보다 일찍 경고해온 인물입니다. 그의 책과 강연, 인터뷰 속 한 문장 한 문장은 단지 지식을 전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판단력’을 깨우는 도전장이었습니다.
세상의 구조를 꿰뚫는 눈
‘구루를 찾아서’ 코너에서 소개한 노암 촘스키는 단순한 학문적 권위자가 아닙니다. 그는 인간 내면의 언어 구조를 밝히면서도, 권력의 언어를 벗겨낸 비판적 지성입니다.
그의 메시지는 결국 한 가지입니다.
“생각하라. 그리고 침묵하지 말라.”
노암 촘스키
이름: 아브럼 노암 촘스키 (Avram Noam Chomsky)
출생: 1928년 12월 7일,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
전공 분야: 언어학, 인지과학, 철학, 정치학

소속
MIT(매사추세츠 공과대학) 언어학·철학과 교수 (1955~1996)
애리조나 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2017~현재)
주요 업적
‘보편 문법(Universal Grammar)’ 이론 창시
‘변형생성문법(Transformational-Generative Grammar)’ 개발
행동주의 언어 이론 비판 및 인지과학 발전에 기여
정치 활동: 반전 운동, 반제국주의 논객, 미디어 비평가로서 활동
주요 저서
『구문 구조(Syntactic Structures, 1957)』
『지식인의 책임(The Responsibility of Intellectuals, 1967)』
『여론 조작(Manufacturing Consent, 1988, 공저)』
『누가 세계를 지배하는가(Who Rules the World?, 2016)』 등 100여 권 이상 저술
특징
20세기 이후 가장 영향력 있는 지성인 중 한 사람
언어학뿐 아니라 정치, 사회 분야에서도 세계적인 영향력 행사